부처님께 귀의하며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사부대중이 다함께하는 제12교구 해인사 말사. 진주 월아산 청곡사

신행 안내

불교 공부

불교 의식 무용 작법

청곡사 | 2018.06.22 12:05

 

불교무용

 

불교에서의 무용, 음악 등은 의식인 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의식을 어떤 방법과 절차를 가지고 행하느냐에 따라 무용 및 음악의 성격과 종류도 달라지며, 그 의식을 장엄하고 보다 의식의 의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불교무용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로 작법(作法)이다. 그러나 작법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불교의식의 형식과 절차를 총칭하는 법식을 뜻하며, 두 번째는 그 의식에서 춤을 추는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같은 작법이라 할지라도 불교법식을 이야기하는 경우 불교의식을 진행해나가는 승려의 행위나 행동을 의미하고 춤으로서의 작법은 무용이라는 예술적 성격을 강조한 의미이다.

 

두 번째 의미의 작법이 바로 불교의식인 재()를 올릴 때 추는 모든 춤의 총칭으로 불교무용을 대표하는 것이다. 불교음악을 대표하는 범패(梵唄)가 입을 통해 소리를 내어 부처님께 공양드리는 것이라면, 작법은 몸으로 동작을 취해 공양을 드리는 것이다. 더욱이 작법이 범패의 음률에 맞추어 추는 춤이므로 범패에 대응되는 말로 범무(梵舞)라고도 한다.

 

작법의 역사는 유래가 정확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서 8세기경 범패가 수용된 사실을 보아 그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지만, 어떤 형태였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다만 고려시대에는 불교의식이 성행하였고 수많은 범패를 하는 의식승이 있었다는 기록 등을 통해 이 당시에도 작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작법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三國遺事)''석혜공전(釋惠空傳)''원효전(元曉傳)''경흥우성전(憬興遇聖傳)'등에서 살펴볼 수 있으나 구체적인 작법의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전해지는 작법의 구체적 모습을 담은 자료는 조선 숙종(16751720) 때에 간행된 불교의식집(佛敎儀式集)에서 찾을 수 있다. 이때에는 많은 불교의식집이 정비되어 출간되었는데, 억불정책에 의하여 상류층에 기반을 잃은 불교계는 일반대중에게 기반을 내리기 위해 무엇보다도 신앙의례를 통한 불교의 전교(傳敎)가 절실히 요청되었기 때문에 염불 위주의 범패에 초점이 맞춰져 의식집이 정비되었다.

 

 

18세기에 간행된 '범음집(梵音集)'이 그와 같은 것이며, 그 뒤 몇 번이나 증보판이 나오고 이어 19세기의 '작법귀감(作法龜鑑)', 20세기의 '석문의범(釋門儀梵)'에 이르기까지 재편된 불교의식집에서 작법은 범패의 중흥과 더불어 불교의식무용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작법은 1911년 조선총독부의 사찰령으로 인해 범패와 함께 금지되면서 해방 후에는 불교분쟁과 더불어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태고종 봉원사, 백련사, 안정사를 중심으로 몇몇 사찰에서 맥이 이어지는 형태이며, 1973년에 영산재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작법이 함께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작법

 

춤의 동작과 형식 등에 따라 나비춤·바라춤·법고춤·타주춤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나비춤은 나비 모양의 의상을 입고 춤추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착복무(着腹舞)라고도 한다. 나비춤을 출 때 입는 도포는 육수가사(六垂袈裟)라 하여 앞으로 세 가닥 뒤로 세 가닥의 총 여섯 가닥으로 육바라밀(六波羅密)을 의미하는데, 사바세계(괴로운 것)에서 극락세계(좋은 곳)로 건너간다는 뜻을 갖는다. 장삼과 고깔 차림으로 겉에 붉은 가사(袈裟)를 걸친 여러 명의 무용수들이 반주 없이 큰 법고(法鼓)를 치며 추는 춤으로, 보통 2인이 하지만 때로 4인이 하는 수도 있다. 손에는 연꽃을 들고 마치 나비가 꽃에 내려앉는 듯한 느낌과 고기가 움직이는 것 같이 추는 것으로 춤동작은 완만하고 느린 동작으로 일관된다.나비춤은 쓰이는 용도에 따라 도량게작법(道場偈作法), 향화게(香花偈)작법 등의 15가지 작법이 있으며 범패 중의 흣소리나 태징을 사용하여 춤을 추거나 경우에 따라서 반주 없이 추기도 한다.

 

바라춤은 양손에 바라를 들고 마주치면서 빠른 동작으로 전진, 후퇴, 회전하며 소리를 내어 추는 춤이다. 바라춤은 노래가 없이 추는 막바라춤과 내림게로 추는 내림게바라춤, 천수경에 맞추어 추는 천수바라춤, 사다라니에 맞추어 추는 사다라니바라춤이 있으며, 춤추는 사람에 따라 평바라(1인무), 겹바라(2인무), 쌍바라(4인무) 또는 많은 승려들이 합세한 잡바라춤이 있다. 의상은 고깔에 장삼을 입으며, 반주는 태징, , 목탁, 호적 등 삼현육각(三絃六角은 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 , 박으로 구성된 악기편성을 말하며, 동시에 그 악기 편성으로 연주하는 음악을 지칭)이 모두 어우러져 타령 비슷한 장단으로 반주한다. 이 춤은 모든 악귀를 물리치고 도량(道場)을 청정(淸淨)하게 하며, 마음을 정화하려는 뜻에서 춘다고 하며 부처님을 찬양하고 중생을 천도하는 뜻도 있다고 한다.


법고춤은 불전사물(佛殿四物, 범종(梵鐘), 운판(雲板), 목어(木魚), 법고(法鼓)) 중 하나인 법고(法鼓)를 두드리며 추는 춤으로, 대개 일정한 장단 없이 범패를 반주로 하여 춘다. 이것은 법고를 두드리는 것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추는 춤이기 때문이다. 법고를 치는 동작을 내용으로 하는 법고춤과, 복잡한 리듬을 내용으로 하는 홍구춤의 두 가지로 나뉜다. 법고춤이 법고를 치는 동작에 치중한다면 홍구춤은 복잡한 리듬에 역점을 두는 것이 다르다. 법고춤은 장삼을 걸치고 양 손에 쥔 북채로 북을 힘껏 울리면서 추는데, 대부분 느린 동작으로 추나 장단에 맞추어 빨라지기도 한다.


타주춤은 영산재 가운데 식당작법(食堂作法)에서만 하는 의식으로 불교에 있어 수행을 다짐한다는 의미를 상징하는 춤이다. 불교의 중요한 수행법인 팔정도(八正道)를 각각 팔각의 기둥 위에 보이도록 표시하여 오른손에 채를 잡고 이 채로 팔정도의 기둥을 두드리며 주위를 돌며 추는 춤이다. 이 춤은 동작으로 보아서는 춤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춤의 사위가 단조로우나 나비춤과 같은 의상을 입고 추는 춤이자 팔정도의 교의를 깨우치기 위해 추는 의미가 있어 불교의식무용으로서 중요시된다

(조계종 자료) 

 

twitter facebook
댓글 (0)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